-
BigO 표기법과 시간복잡도알고리즘 2023. 2. 12. 20:36728x90반응형
알고리즘의 성능을 판단하는 지표로는 시간복잡도(Time Complexity)와 공간 복잡도(Space Complexity)가 있다. 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 수행시간을 의미하는 지표이며, 공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사용량을 의미한다.
반응형알고리즘 성능 표기방법🤚🏻
- Big-O 표기법
- 알고리즘의 성능을 수학적으로 표기해주는 표기법
- 알고리즘 최악의 실행 시간과 사용 메모리를 표기
- 가장 많이/일반적으로 사용함
- 아무리 최악의 상황이라도, 이정도의 성능은 보장한다는 의미
- 𝝮(오메가) 표기법
- 알고리즘 최상의 실행 시간을 표기
- 𝜭(세타) 표기법
- 알고리즘 평균 실행 시간을 표기
Big-O 입력값 표기 방법
- 만약 시간 복잡도 함수가 2𝑛² + 3n 이라면
- 가장 높은 차수는 2𝑛²
- 상수는 실제 큰 영향이 없음
- 결국 Big-O 표기법으로는 O(𝑛²)
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🕰️
입력값의 변화에 따라 연산을 실행할 때, 연산 횟수에 비해 걸리는 시간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.
O(1)
-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상관없이 언제나 일정한 시간이 걸리는 알고리즘입니다.
int func(int[] n){ if (n.length <3) return 0; int a = n[0]; a += n[1]; a += n[2]; return a; }
O(n)
- 입력 데이터의 크기에 비례해서 처리 시간이 걸리는 알고리즘입니다.
- 표현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n의 단위로 표기입니다.
int func(int[] n){ int s = 0; for (int i: n){ s += i; } return s; }
O(n²)
- 반복문이 두번있는 케이스입니다.
void bubbleSort(int[] n) { for(int i =0; i< n.length; i++) { for(int j=0; j<n.length; j++){ ... } } }
O(logn)
- 주로 입력 크기에 따라 처리 시간이 증가하는 정렬 알고리즘에서 많이 사용됩니다.
int sum(int[] n) { int sum = 0; int max = n.length; while (max > 0){ sum += n[max -1]; max /2; } return sum; }
공간 복잡도란?🤔
- 알고리즘이 사용하는 자원 공간의 사이즈입니다.
- 공간 복잡도 = 고정 공간 요구 + 가변 공간 요구로 나타냅니다.
- 고정 공간은 입력과 출력의 횟수나 크기와 관계없는 공간의 요구입니다. (코드 저장 공간, 단순 변수, 고정 크기의 구조 변수, 상수)
- 가변 공간은 해결하려는 문제의 특정 인스턴스에 의존하는 크기를 가진 구조화 변수들을 위해서 필요로 하는 공간, 함수가 순환 호출을 할 경우 요구되는 추가 공간, 즉 동적으로 필요한 공간입니다.
공간 복잡도 예시
int factorial(int n){ if(n >1) return n * factorial(n-1); else return 1; }
위 코드의 경우 n이 1 이하일 때 까지 함수가 재귀적으로 호출되므로 스택에는 n부터 1까지 모두 쌓이게 됩니다.
즉 공간 복잡도는 O(n)이 됩니다.
int factorial(int n){ int i = 0; int fac = 1; for(i = 1; i <= n; i++) { fac = fac * i; } return fac; }
다음 예시 코드에서는 n의 값에 상관없이 스택에는 n과 i 그리고 fac 변수만 저장되어, 여기서는 공간 복잡도는 O(1)입니다.
참고 자료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6Iq5iMCVsXA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QBZnX_P_dj4
https://www.bigocheatsheet.com/728x90반응형 - Big-O 표기법